친환경 압전소재 상용화 성큼, 온도 불안정성 한계 극복 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작성일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세계 최고 수준의 온도 안정성을 갖춘 친환경 비납계 압전소재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기기안전진단연구부 박규현 선임연구원과 이민구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기존 비납계 압전세라믹 소재가 온도에 따라 압전성능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오히려 이 현상을 이용했다. 온도에 따라 상반된 압전성능 변화를 보이는 두 소재를 번갈아 쌓은 적측형 압전복합소재를 개발해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먼저, 온도가 높아질수록 압전성능이 감소하는 ‘칼륨 소듐 니오베이트((K,Na)NbO3, 이하 KNN)’계 물질과 반대로 압전성능이 높아지는 ‘비스무트페라이트(BiFeO3, 이하 BF)’계 물질을 층으로 쌓아 복합소재를 만들었다. 이 복합소재는 복합비율에 따라 온도 안정성의 차이가 있었는데, 연구팀은 많은 실험 끝에 KNN계 물질이 43%일 때 최적 비율임을 밝혀냈다. 이 때 300℃까지 압전성능 변화 비율이 최대 4.7%로 유지되었다.
이는 기존 비납계 압전세라믹 소재의 온도 안정성이 최대 100~150℃(압전성능 변화율 10% 이내)인 것과 비교하면 2배 이상 향상된 결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한다.
또한, 기존에 300℃의 고온에서 사용하던 압전물질이 대부분 비스무스 층상구조(Bi-layered structure)로 압전성능을 의미하는 압전상수가 20 이하에 불과하다. 반면, 연구팀이 활용한 두 가지 물질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perovskite structure)로 압전상수가 최소 150 이상으로 고온에서도 압전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