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소관기관 소식 - 보도자료 상세보기 - 소관기관, 제목, 내용, 파일, 주소 링크 정보 제공
소관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연, 「2022년 유전자변형생물체 주요 통계」 발표
생명연, 「2022년 유전자변형생물체 주요 통계」 발표

- 농산물 수입량은 2년 연속 감소한 반면, 수입금액은 전년 대비 23% 상승…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영향 미친듯

- 작물별 수입량은 옥수수가 85%로 최다, 국가별 수입량은 아르헨티나(47%), 브라질[29%], 미국(17%) 순으로 아메리카 대륙 비중 높아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 이하 생명연)이 「2022년 유전자변형생물체 주요 통계」자료를 발표하였다.



ㅇ 생명연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센터장 김기철)는 2022년도에 발생한 국내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각종 자료를 수집‧정리하여 ʻ바이오안전성포털사이트(http://www.biosafety.or.kr)ʼ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ㅇ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유전자변형생물체법)』에 따라 유전자변형생물체 주요 통계자료를 매년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



□ 지난해 국내에 수입 승인된 식품용․사료용 유전자변형생물체는 약 1,105만 톤(42.6억 달러) 규모로, 2021년 1,115만 톤(34.5억 달러) 대비 10만 톤가량 감소하였으나, 수입금액은 42.6억 달러로 2년 연속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ㅇ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ʼ22년 2월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국제 곡물 시장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용도별로는 사료용과 식품용이 각각 85%(940만 톤), 15%(165.3만 톤)의 비중을 보였으며, 작물별로는 옥수수가 988.3만 톤으로 가장 많이 수입되었다.



ㅇ 이는 전체 식품용‧사료용 유전자변형생물체 작물별 수입 승인량 중 89.4%에 해당하며, 뒤이어 식품용 유전자변형 대두가 99.4만 톤으로 9%를 차지하였다.







□ 2022년에는 유전자변형농산물 교역 관련하여 아르헨티나의 비중이 전체 유전자변형농산물 수입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였다.



ㅇ 식품용‧사료용 유전자변형생물체 국가별 수입 승인량을 분석한 결과, 아르헨티나 522만 톤(47%), 브라질 275만 톤(29%), 미국 192.7만 톤(17%) 순이었다.



ㅇ 미국은 ʼ21년에 비해 절반 가까이 대(對)한국 수출량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기후 이상으로 인한 미국 농산물의 품질 저하로 아르헨티나 등 남미로 교역 대상이 변화한 것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 그 밖에 우리나라 유전자변형생물체 주요 통계는 다음과 같다.



ㅇ (시험·연구) 시험․연구 목적으로 2022년에 국내 수입 신고한 유전자변형생물체는 총 7,646건으로 2021년보다 111건이 감소하였으나, 2019년 이후로 연평균 7천 건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해외에 반출된 유전자변형생물체 통보 건수는 267건이며, 대부분 시험·연구용으로 해외 연구기관에 반출되고 있다.



ㅇ (재배) 현재 국내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하고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는 한 건도 없다. 2008년 유전자변형생물체법 시행 이후 국내에서 위해성 심사를 신청한 유전자변형농산물은 단 한 차례도 없다. 다만 농산물은 아니지만, 유전자변형 들잔디가 유일하게 재배를 전제로 위해성 심사가 진행 중이다.



ㅇ (산업용 유전자변형생물체) 2021년 위해성 심사 간소화 도입 이후, 식품용·사료용으로 유전자변형 옥수수 90건이 산업용 위해성 심사 승인을 받았으며, ʼ22년에는 5건이 위해성 심사를 받아 1건의 미생물이 이용승인을 받았다.



□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는 격년으로 실시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국내 공공인식 현황 조사 결과도 함께 발표하였다.



ㅇ 만 19세~64세의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9일부터 12월 9일까지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법·제도 인지도, 정보 접촉 실태 등을 묻는 설문에서,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한 인지도는 2020년 조사 대비 2.3% 하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ㅇ 이번 조사에서 새롭게 추가된 국내외 유통 중인 유전자변형 식품 중 구매의향 여부를 묻는 항목에서 구매 의사를 밝힌 식품은 콩(42.3%), 옥수수(41.5%), 토마토(40.5%)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매하고 싶지 않다고 밝힌 식품은 도미(39.6%), 연어(31%), 파파야(30%) 순이었다.



□ 또한, 2022년/2023년 바이오안전성 분야 주요 이슈 키워드로 “바이오 신기술(Emerging Biotechnology)”을 선정하였다.



ㅇ 바이오 신기술은 ‘의료, 농업, 환경 등 우리 삶의 다양한 측면을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진 생명공학 분야’를 의미하며, 이번 정부에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바이오경제 2.0의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ㅇ 그러나 생명체의 권리와 존엄성의 문제 등 다양한 이슈들이 존재하여 기술 육성과 규제 사이에 사회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김기철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장은 “최근 미국, 일본, 유럽연합 등 바이오기술 선진국은 유전자가위, 합성생물학 등을 포함한 ‘바이오 신기술’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바이오 신기술에 대한 국제동향을 분석하면서,



ㅇ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는 바이오 분야 기술 정책 동향과 함께 바이오 정보의 허브로써 바이오 신기술이 적용된 산물의 안전성 및 혜택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국민과 나누고 이와 관련한 정책과 제도 수립을 선도하는 싱크탱크 역할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용어설명

[별첨] 2022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주요 통계(요약)
파일
주소 링크 https://www.kribb.re.kr/kor/sub02/sub02_02_01_view.jsp?b_idx=29463

콘텐츠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