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소관기관 공지사항 상세보기 - 소관기관, 제목, 내용, 파일, 주소 링크 정보 제공
소관기관 한국천문연구원
2024학년도 2학기 UST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 신입생 모집


2024학년도 2학기 UST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 신입생 모집




Big dreams and education to Big science and technology!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과 함께 여러분의 꿈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https://kasi.re.kr/kor/introduce/pageView/332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에서는 2024학년도 2학기 석사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및 박사과정 UST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대전 대덕특구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는 천문학과 우주과학 분야에서 기초과학기술 및 응용과학기술 지식 습득에 탁월한 연구 및 교육 환경(학생인건비: 석사과정 154만원/월, 박사과정 210만원/월 지급, 기숙사: 대전 외 지역 거주학생에 한하여 KASI 내부 기숙사 입주 가능, 국제학술대회 및 단기 해외연구교류 (90일 이내) 지원, 학생주도 연구과제: 연 1,000만원 이내 등)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유관분야 과학기술전문 기관으로서,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핵심 과학기술그룹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은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학위과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공강좌(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우주과학, 천문관측기기개발 분야 등), 현장연구, 세미나 등의 교과과정과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의 지도를 받으며 참여할 수 있는 대형 연구프로젝트를 다수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신입생들이 졸업 시 연구경쟁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 권장하는 학위 과정 기간(예, 석박사 통합과정은 6년 이내, 박사과정은 4년 이내) 동안 그 연구결과를 국내외 유관분야 저명 학술지(SCI(E))에 제1저자 논문 2편 이상을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2024학년도 2학기 신입생 모집분야는 다음의 연구 분야들입니다. 각각의 세부전공 관련 문의사항은 담당 교수께 문의해 주시고, 기타 일반 사항은 전공책임교수(이상성, sslee@kasi.re.kr)에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지원 원서접수는 4월 17일부터 5월 8일(오후 5시)까지 가능하며, UST 홈페이지 입학안내(https://ust.ac.kr/admission.do)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성 드림.


전공책임교수








1. 심채경 교수(cksim@kasi.re.kr), 최영준 교수(yjchoi@kasi.re.kr)




모집과정 :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국가 우주개발진흥계획에 따라 달과 소행성, 화성 등에 대한 과학탐사임무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들 임무의 목표 설정, 과학적 가치 평가, 임무 설계 및 획득한 과학관측자료의 이해와 분석 등의 연구역량을 가진 태양계 연구 전문가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입생은 태양계 천체의 구조, 지질, 대기, 궤도 등의 과학적 특성과 그 주변 우주환경 및 다른 천체와의 상호작용 등을 이해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이를 위해 다누리 관측자료를 비롯하여 해외 태양계 행성 및 소천체의 우주탐사 관측자료를 분석하고 간단한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통해 비교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국제 우주탐사 과학 임무의 동향을 파악하고, 우주탐사 임무의 일반적인 체계 특성과 과학 탐사의 추진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우주탐사임무의 과학 목표와 추진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기를 기대한다.






2. 이창원 교수(cwlee@kasi.re.kr), 손봉원 교수(bwsohn@kasi.re.kr)




모집과정 :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본 연구팀은 한국우주전파관측망 (KVN), 한일공동 관측망 (KaVA), 동아시아 VLBI 네트워크 (EAVN), 사건지평선 망원경 (EHT)을 활용한 강전파 활동성은하핵 정밀관측 연구와 VLBI 다파장 동시관측 기법 개발, 이들 천체의 비정형 변광 현상 그리고 블랙홀 존재를 실증한 블랙홀 그림자 관측 등의 연구를 수행해 왔다. 위의 성과를 바탕으로 활동성은하핵 현상의 근원인 초대질량블랙홀의 정밀 관측 연구로 통해 초대질량블랙홀의 진화와 활동성은하핵 현상의 기작을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초대질량블랙홀의 다양한 전파세기의 비선형 제트 현상을 관측하고 이의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모집 학위 과정의 학위 과정의 목표이다. 상대론적 제트의 비선형 현상의 원인으로는 유체역학적 불안정성, 블랙홀의 고전역학적 또는 일반상대론적 세차운동, 그리고 근접 이중 블랙홀의 공전운동 등이 제기되었는데, 이를 정밀 관측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정형 제트 현상을 가진 초대질량블랙홀 샘플 선정 및 검증, VLBI 이미징 및 VLBI 측성학 관측 결과의 분석, 그리고 펄사 타이밍 어레이 (PTA) 중력파 관측 등을 계획, 관측,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위에 열거한 주요 관측 장비에 더하여, 한국과 이탈리아가 중심이 된 EATING VLBI를 활용한 VLBI 정밀 측성학 모니터링과 Square Kilometer Array (SKA)를 활용한 제트 거대구조 관측, 미약한 제트에 대한 SKA VLBI 관측, 그리고 근접 이중 블랙홀의 중력파 검출을 위한 SKA PTA 연구 등에 참여하고 이를 주도할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그리고 강하고 특이한 제트에 대해서는 EHT 관측 역시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다양하고 긴밀한 국제협력을 동반하는데, 특히 동아시아 VLBI 네트워크 활동성은하핵 워킹그룹, 한-이탈리아 (Bologna INAF) VLBI 연구협력, SKA VLBI/PTA 워킹그룹, EHT 협력단과의 연구 협력 교류와 공동연구 활동이 중점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3. 정웅섭 교수(jeongws@kasi.re.kr), 양유진 교수(yyang@kasi.re.kr)




SPHEREx를 활용한 관측 연구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현재 미국과 천문연이 국제 공동으로 개발 중인 NASA 우주망원경 미션 SPHEREx는 세계 최초로 전천 적외선 영상분광 탐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SPHEREx는 은하의 3차원 분포로부터 초기 우주의 기원을 밝히고, 먼 우주에서 현재에 이르는 은하 빛들의 총량을 측정하여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고, 우리은하 내의 물을 비롯한 생명 관련 물질들의 분포와 양을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SPHEREx가 제공할 10억여 개에 달하는 다양한 천체들에 대한 분광 정보를 이용하여, 은하, 별, 성간물질 등 다양한 과학연구 주제에 관한 연구가 가능하다. 선발된 학생은 2025년 2월 발사 예정인 SPHEREx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NASA 우주망원경 자료를 독점적으로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할 기회가 주어진다. 이를 통해 차세대 우주망원경 개발, 관련 과학 연구를 위한 핵심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다.




정웅섭 교수(jeongws@kasi.re.kr)


적외선 우주 관측기기 개발 연구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우주에서 활발한 별생성 활동을 보이는 은하들 대부분은 "obscured"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은하들의 생성과 진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적외선 관측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적외선 파장대는 지상 대기 및 열잡음에 의한 영향으로 지상 관측이 어려워 우주에서의 관측이 매우 효율적이기도 하다. 광학, 광기계, 자료 및 신호 처리 등 적외선 은하를 관측하기 위해 최적화된 다양한 영상/분광 타입의 적외선 관측 기기를 연구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극한 우주환경을 고려하고 우주에서 운용 가능한 우주관측 기기는 운용 기간 최적의 성능을 도출하기 위한 광학 설계 및 제작, 발사 및 열환경을 고려한 광기계, 극미광을 최소한의 노이즈로 신호를 얻기 위한 자료처리 및 전자부 등 추가적인 우주기술이 요구된다. 선발된 학생은 NASA 중형미션으로 현재 미국과 국제공동개발로 진행 중인 전천 적외선 영상분광 탐사 미션인 SPHEREx 프로젝트 (PI 기관: Caltech)에 참여하여 관련 연구개발을 수행 할 기회가 주어질 예정이다. SPHEREx에서는 최근 검교정 장비에 대한 개발을 완료하였고, SPHEREx에서 관측된 흥미로운 천체들에 대한 후속 관측도 준비하고 있으며, 개발된 관측 기술들은 추후 국내 주도로 개발하고자 하는 우주망원경의 관측 기기로의 활용도 검토하고 있다. 지상 및 우주용 관측 기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개발 경험을 획득하여, 미래의 국내 주도를 위한 우주망원경 개발을 위한 핵심 인력으로 양성될 예정이다.






4. 신지혜 교수(jhshin@kasi.re.kr)




모집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기간 동안, 표준우주모형의 난제 중에 하나로 손꼽히는 위성왜소은하 정렬 분포/회전 문제에 접근 하기 위해 고분해능의 우주론적 유체역학/다체중력 수치실험을 수행한다. 최근 존재여부가 부각되고 있는 극미왜소은하의 형성기작, 개수밀도, 공간 분포를 추적함으로써, 앞으로 다가올 극미광 관측 시대와 비교할 수 있는 이론모형을 확보한다.




During the master’s program, to tackle one of the key puzzles in the standard cosmological model, the distribution/orientation of satellite dwarf galaxies, high-resolution cosmological hydrodynamics/n-body numerical simulations are being conducted. By tracing the formation mechanism, number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ultra-faint dwarf galaxies, we aim to secure theoretical models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upcoming era of ultra-faint light observations.








5. 고종완 교수(jwko@kasi.re.kr)




첨단 관측기술 개발을 통한 은하의 형성과 진화 연구: LSB 우주 탐사용 망원경(K-DRFIT) 개발 (모집분야: 박사과정)




K-DRIFT(KASI Deep Rolling Imaging Fast Telescope) 프로젝트팀은 천문학적 난제인 은하의 형성과 진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전략으로 ‘기기개발+탐사관측+수치모의실험’ 연구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연구조직 구성을 통해서, 미지의 LSB(Low Surface Brightness; 밤하늘 평균 밝기의 ~0.1%보다 어두운 표면 밝기) 우주 탐사에 최적화된 관측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박사과정 동안 한국천문연구원의 K-DRIFT 프로젝트팀원으로서 LSB 우주 탐사용 망원경(K-DRIFT) 개발에 참여하여 국내 기술로 개발한 K-DRIFT 지상망원경(비축 자유곡면 광학계)의 관측자료를 활용한 성능검증 기술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자유곡면 광학계 성능분석 기술 습득과 함께 해외 선진기관과의 인력교류를 통한 공동연구 수행을 통해서, 정밀 자유곡면 우주망원경 개발에 필요한 핵심 요소기술을 확보한다. 주요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 비축 자유곡면(자유형상 광학면) 광학계 성능분석 연구


- 시뮬레이션과 시험관측 자료 비교를 통한 자유곡면 광학계 성능검증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 자유곡면 광학계 미광(stray light) 최소화 기술 연구


- 자유곡면 우주망원경 End-to-End 시뮬레이션 수행


파일
주소 링크 https://www.kasi.re.kr/kor/publication/post/notice/29998

콘텐츠 만족도 조사